젊은 사람들의 특권일 수도 있고, 모르니까 용감한 걸 수도 있습니다만, 어쨌든 대한민국 한정 절대적 1위인 Java는 많은 욕을 먹을 수밖에 없는 위치에 있습니다. 그 중에는 높은 메모리 사용량과 실행파일 용량, 그리고 이로 인해 docker로 대표되는 컨테이너 환경에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이 빠지지 않고 등장합니다. 2. 높은 메모리 사용량, 실행파일 용량, 컨테이너 비친화적 A. 높은 메모리 사용량 사실 이 내용은 Java 사용자라면 반박할 수 없는 사실이기도 합니다. Java는 메모리를 직접 개발자가 손댈 수 없게 하고 사용된 객체(Object)는 쓰레기 정리(Garbage Collection, 줄여서 GC)라는 기법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제거되기 전까지는 메모리를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
국내 한정으로만 놓고 보면 Java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진 개발(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SI 시장을 포함하면 체감상 90% 이상 점유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서비스 회사에서도 아직까지 절반 이상 사용하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물론 C 언어와 같이 더 오래된 절대왕자도 존재하지만, Web 환경을 위주로 개발할 것이 많은 현재의 국내 상황에선 Java가 절대적인 위치에 있는 건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 위치의 Java를 악의 축, 쓰레기 정도로 표현하면서 욕을 하는 사람들을 개발자들이 모인 곳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대충 들어보면 몇 가지 키워드가 들립니다. 전자정부 프래임워크, 높은 메모리 사용량, 실행파일 용량, 컨테이너 비친화적, 장황한 문법, 신기술 적용이 느림 점, Sprin..
- Total
- Today
- Yesterday
- manjaro
- SI
- Spring MVC
- Redmine
- 외장 WAS
- 페이징
- OracleJDK
- Phabricator
- 도입기
- RestTemplate
- 클라우드플레어
- couchbase
- 내장 WAS
- 엘지
- Spring Boot
- NoSQL
- proxmox
- docker
- git
- Spring
- 시니어 프로그래머
- Nas
- paging
- jooq
- 워드프레스
- KDE
- messages.properties
- boot
- 프로젝트 규모
- java confi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