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E08e/btqxj2mtB96/5OoKlvNVUWg07I9gxrBeb1/img.png)
제가 구축했었던 OpenMediaVault 의 mdadm 설정에 문제가 생겨서 수리를 했습니다. 장비에 RAID 카드를 S-ATA 로 펌웨어 업데이트 해서 8 port 로 이용중인데(4ea * 2), 한 쪽 라인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번에는 아예 mdadm 까지 깨졌네요. 6 개의 Disk 을 RAID 6 로 해뒀는데, 한 쪽 라인에 4 개만 인식이 되고 있습니다. 다른 라인에는 나머지 Disk 2 개와 중요 데이터만 백업받는 ext4 형태의 단독 Disk 하나가 더 있습니다. 상태가 inactive 네요. 살아있는 네 개의 Disk 상태를 확인해봤습니다. 장치 네 개를 모두 확인해보니 모두 Array State 는 Missing 된 것 없이 Active 상태입니다. Device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Amdo8/btqw6pvAzFj/p0GxkRRfCTTKknClMKiEQ0/img.png)
Windows 에서 SSH 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SecureCRT, XShell, Putty, Cygwin 등이 먼저 떠오를 것입니다. 또한, Windows 10 에 포함된 OpenSSH 을 이용한 접속 역시 알고 계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SecureCRT 와 XShell 은 유료이니까 회사에서 사준다면 상관 없지만, 이 비용이 부담될 경우 Putty 나 Putty 기반으로 개선된 기능을 제공하는 Kitty, MPutty 등을 이용하게 될 것입니다. 혹은 Cygwin 을 이용해서 사용하는 분도 계실 것입니다. 물론 Windows 에서 제공하는 OpenSSH 도 훌륭한 옵션입니다만, 이 경우 암호화 지원이 완벽하지 않아서 최신 배포버젼의 *NIX 에 기본적으로 접속이 안되는..
요즘 거의 쓰지 않는 동축케이블(BNC) 때문에 고생을 좀 했습니다. 조금 불편하게 사는 것 보단, 과하게 갖춰놓고 사는 편이다 보니 생긴 문제인데, TV 을 볼 수 있는 영상장치가 늘다보니 IPTV 셋탑이나 TVHeadend 가지고 대응하기가 어려워서 아파트 공청안테나에 연결해 공중파만 보자...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지금 있는 강남역 6번 출구 주변에 알파문구가 있어서, 그곳에 가보니 1.5m/3m 동축케이블이 있더군요. 바로 겟! 집에서 테스트 해보니...채널이 안잡힘!!! 케이블은 새로 산거니 의심에서 제외, 매입 콘센트의 CATA 2방도 문제여서 다른 콘센트에서 뽑아와 다시 연결하니, 일부 채널만 안잡히네요. 그래서 TV셋탑박스 제조사에 보내서 튜너까지 교환해왔습니다. 그래도 해결이 안되..
- Total
- Today
- Yesterday
- RestTemplate
- 워드프레스
- SI
- jooq
- OracleJDK
- docker
- 내장 WAS
- java config
- 페이징
- couchbase
- git
- Redmine
- 클라우드플레어
- boot
- KDE
- 시니어 프로그래머
- 도입기
- Phabricator
- 엘지
- 외장 WAS
- NoSQL
- Spring
- messages.properties
- Spring MVC
- 프로젝트 규모
- paging
- Nas
- Spring Boot
- manjaro
- proxmo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