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jaro KDE 를 노트북에 설치한 뒤 HDMI 로 추가 모니터에 연결하여 화면을 확장하였습니다. 그런데, 모니터가 DP 포트만 남아있어서 쿠팡에서 HDMI to DP 젠더(넥스트링크 HDMI to DisplayPort Adapter)를 구입하여 연결하였더니 문제가 좀 있었습니다. 먼저, 제 노트북(Lenovo L340-15IRH I5 GAMING LEGEND)에서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어뎁터가 연결된 상태에선 USB 전원이 계속 인가가 되어 있는 상태가 지속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위에서 구입한 젠더는 USB 로 추가 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노트북 USB 포트에 연결해서 전원을 공급받는데,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다보니 모니터가 계속 절전모드와 활성모드를 반복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HDMI 에..
새로 구입한 노트북에 Manjaro Linux 을 설치하여 사용중입니다. 그런데 최신 노트북에는 Secure Boot 라는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부팅 시 OS 의 보안을 위해 checksum 을 비교하는 기능 같아 보이는데 아마도 Microsoft 에서 제안한 기능이 아닌가 싶습니다. 문제는 Linux 에서는 이 기능 때문에 제대로 부팅이 되지 않고 심할 경우 grub 화면이 뜨지 않고 grub rescue, 즉 console 화면만 뜨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아니면 Windows 로 바로 부팅될 수도 있습니다. 하여튼 EFI 환경 때문에 좀 골치가 아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indows 로 바로 부팅이 될 경우에는 전원을 켠 뒤 F12 등을 연타하여 부팅할 장치를 고를 수 있는 메뉴를..
새로운 노트북을 구입하면서 MacOS 의 iterm2 + zsh + oh-my-zsh 조합을 찬양하던 사람들에게 살짝 반감도 있었고, 요즘 Linux 의 사용성도 많이 높아진 편이라고 생각되어서 Linux 을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노트북은 Lenovo 사의 L340-15IRH I5 GAMING LEGEND 이고, Windows 10 을 UEFI 로 먼저 설치한 다음 Linux Mint 을 설치하였습니다. 설치는 iso 파일을 내려받고 iODD 을 이용해 UEFI CD-ROM 설치를 하였습니다. Windows 을 그대로 둔 채 Mint 가 잘 설치되었고, grub 도 잘 설정해서 듀얼부팅도 잘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grub 이 촌스러웠는데, 최근에 판올림을 하면서 조금 그래픽이 세련되어졌습니다. 하지만, ..
- Total
- Today
- Yesterday
- paging
- manjaro
- messages.properties
- OracleJDK
- boot
- proxmox
- couchbase
- 클라우드플레어
- 엘지
- KDE
- docker
- Nas
- 내장 WAS
- Redmine
- RestTemplate
- NoSQL
- java config
- 외장 WAS
- 프로젝트 규모
- jooq
- 페이징
- git
- 도입기
- Spring
- Spring MVC
- Phabricator
- 시니어 프로그래머
- 워드프레스
- SI
- Spring Boo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