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링크와 같은 글이 올라와서 개인적으로 도와드렸습니다.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code=187&no=498615 MySQL 에 dump 받은 파일을 import 하려는데 오류가 발생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도움을 요청하신 분은 dump 파일이 너무 커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생각하였지만, 사실 Table 내 ROWS 에 포함된 varchar 등이 모두 합쳐 8126 을 넘게 되면 발생하는 오류로 MySQL 5.6.20 이후 버젼부터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음 링크에서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ordpress.stackexchange.com/questions/162407/wordpress-database-import-row-size-too..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ILFAR/btqBMOjWeql/PP6kEOFHpPR65rojly5QoK/img.png)
NAS 은 네트워크를 이용해 사용하는 저장장치이기 때문에 집에서 어떻게 배선을 구성하느냐에 따라 사용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간과하고 넘어가는 사용자가 많은데, 여러가지를 고려하게 되면 절대 단순한 형태의 배선 구조가 나올 수 없습니다. 먼저, 가정에 들어오는 인터넷 업체에 따라 배선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KT 의 경우 외부에서 인터넷 선(흔히 랜선이라고 부르는) 하나만 창문으로 혹은 거실 벽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고, 하나의 인터넷 선이 들어온 뒤 내부에서 모뎀이라는 장치에 한 번 연결된 뒤 다시 컴퓨터나 TV 로 연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뎀 대신에 인터넷 업체에서 제공하는 공유기나 직접 구입한 공유기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구요. NAS 을 이용할 때 가장 나은 ..
거의 10년 정도 집에서 Server 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웹 프로그래밍이 주업이다 보니 Server 환경 구축을 하는데 친숙한 부분도 있고, 불편한건 그냥 넘어가지 못하는 성격 때문에 집에서 개발에 필요한 환경을 구축하거나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보관하고 때로는 지인들과 이를 공유할 필요가 있어서 지금도 운영중입니다. 가끔 제가 NAS 구성한 것을 보고 자신도 운영해보고 싶다고 자문을 구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좀 남은 지금...많은 자료가 유튜브나 블로그 등에서 공유되고 있지만, 제가 생각하는 NAS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점과 같은 내용을 공유해보고자 이 글을 적기 시작합니다. 사실, NAS 을 집에서 운영하고 싶다고 하면 가장 먼저 생각하는게 어느 회사 제품..
- Total
- Today
- Yesterday
- 페이징
- NoSQL
- OracleJDK
- paging
- 외장 WAS
- manjaro
- Spring MVC
- Nas
- java config
- 엘지
- 시니어 프로그래머
- 내장 WAS
- Phabricator
- Spring
- proxmox
- RestTemplate
- boot
- KDE
- git
- messages.properties
- couchbase
- 도입기
- 클라우드플레어
- 워드프레스
- Spring Boot
- 프로젝트 규모
- SI
- docker
- Redmine
- jooq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